2018년 고독사 5명 중 1명이 장애인이었다
2018년 고독사 5명 중 1명이 장애인이었다
  • 박소윤 기자
  • 승인 2019.10.02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 장애인 고독사, 전년대비 80% 증가
장애인 고독사, 지체·뇌병변·정신 장애인 순으로 취약해
지역별 장애인 고독사, 경기-서울-부산 순
김승희 의원
김승희 의원 ⓒ 김승희 의원실

[소셜포커스 박소윤 기자] = 홀로 쓸쓸히 맞이하는 죽음, '고독사'가 최근 우리나라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양천갑 당협위원장)은 10월 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김승희 의원은 지난해 처음으로 「2017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현황」을 공개하고 대책 수립을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확인 결과 2018년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는 오히려 증가했으며, 고독사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2018 장애인 고독사, 전년대비 80% 증가

보건복지부 제출자료에 따르면, 2018년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는 총 483명으로 전체 무연고 사망자 2,279명의 21.2%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17년 대비 214명(80%)이 증가한 수치로 무연고 사망자 5명 중 1명이 장애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장애인 고독사, 지체장애 35.8%·뇌병변장애 16.4%·정신장애 10.8% 순

현행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은 장애유형을 지체, 뇌병변, 시각, 정신, 지적, 청각, 신장, 장루·요루, 언어, 간, 뇌전증, 자폐성, 심장, 호흡기, 안면장애 등 15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를 장애유형별로 보면 지체장애 173명(35.8%), 뇌병변장애 79명(16.4%), 정신장애가 52명(10.8%) 순으로 많았으며, 자폐성장애, 심장장애, 안면장애의 경우 무연고 사망사례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7년 무연고 사망사례가 없었던 호흡기장애는 2018년 자료에서 10명(2.1%)으로 증가했다. 무연고 사망사례가 없었던 세 유형을 제외한 모든 장애유형별 무연고 사망사례가 2017년 대비 2018년에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독사, 경기-서울-부산 순으로 많아 

시도별로는 경기 100명(20.7%), 서울 98명(20.3%), 부산 46명(9.5%) 순으로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가 많았다. 2017년 통계자료에서 무연고 사망자가 없었던 세종, 전북, 제주는 2018년 세종 2명, 전북 16명, 제주 6명으로 모두 증가했다.

시도별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비율은 세종 2명(0.4%), 전남 4명(0.8), 제주·강원·울산·광주 6명(1.2%)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장애인 고독사 중 노년층, 52.1%로 절반 넘어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의 노년층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의 합이 254명(52.5%)으로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80세 미만 117명(24.2%), 60세 미만 108명(22.3%), 65세 미만 84명(17.3%) 순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대 별로는 60대 155명(32.1%), 60대 117명(24.2%)로 많았으며, 60대 이상의 노년층이 고독사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9월 18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8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자료에 따르면 70대(57만 3000명, 22.2%)와 60대(57만 1000명, 22.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장애인구의 고령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됐다. 또한 노년층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수가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노년층 장애인 중 장애유형은 지체(49.7%), 청각(20.9%), 뇌병변(11.6%), 시각(10.5%), 신장(2.7%) 순이며, 지체와 뇌병변의 경우 장애유형별 무연고 사망자 수가 가장 많은 유형에 속한다. 

김승희 의원은 "정부는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에 대한 실태조차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장애인의 무연고사 급증에 대한 원인분석이 장애인실태조사 과정에서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김승희 의원은 2017년 9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고독사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고독사 발생 시 대응 및 지원을 위한 정책과 기본계획을 수립·시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독사예방법」을 대표발의했으나, 아직 소위에 회부된 채 계류 중인 상태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