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인권상이 없어지는 그 날까지
장애인인권상이 없어지는 그 날까지
  • 노인환 기자
  • 승인 2018.12.03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 주요 관계자와 수상자들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노인환 기자

지난해 신길역 휠체어 리프트에서 발생한 장애인 사망사고, 강서구 특수학교인 서진학교 설립을 위한 장애인 부모들의 무릎 꿇는 호소, 정부의 장애인서비스종합조사도구의 취약성 등 장애인의 인권이 보장되는 길은 아직 멀기만 하다.

그러나 장애인들의 인권 보장과 증진을 위해 힘쓰고 있는 개인, 단체, 기관 등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서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후원하고 한국장애인인권상위원회가 주최한 ‘2018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이 3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개최됐다. 행사 주관은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에서 맡았다.

한국장애인인권상은 1998년 정부가 발표한 장애인인권헌장의 정신을 사회 전반에 널리 알리고, 장애인의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로 만들기 위해 1999년에 제정됐다. 현재 장애인의 인권을 대표하는 상으로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

이번 시상식은 총 4개 부문으로 인권실천부문 2명(또는 단체), 기초자치부문 1개소, 공공기관부문 1개소, 국회의정부문 1명으로 구성됐다.

먼저 인권실천부문상은 경찰청 경찰인재개발원 한정일 교수와 협동조합 무의(‘장애를 무의하게’)가 수상했다. 한 교수는 청각장애인의 폭력사건을 조사하다 피해자의 진술 표현이 어렵다는 점을 절실히 느끼고 ‘경찰 수어(手語)’ 37개를 정리해 장애인 사건 수사에 도움을 줬다. 협동조합 무의는 휠체어장애인을 포함한 많은 교통약자들이 지하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환승지도'를 제작했다.

기초자치부문은 서울시 양천구가 수상했다. 양천구는 2011년 3월 전국 최초로 장애체험관을 개관해 장애인권교육과 장애인식개선에 앞장섰다. 주요 사업으로는 장애인의 이동·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10cm턱 나눔’ 프로젝트를 실시, 휠체어 장애인들의 이동권을 향상시켰다.

공공기관부문 수상은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차지했다. 해당 센터는 장애인이 미디어에 참여할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사업, 시설대관, 방송제작 지원 등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소통하는 데에 기여했다.

마지막 국회의정부문은 오제세 국회의원에게 돌아갔다. 장애인의 인권을 위해 오 의원이 발의한 법률 개정안은 ‘장애인차별금지법’, ‘한국수화언어법’,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 등이 있다.

시상식 이후 행사 관계자들의 축사 및 기념사가 이어졌다. 문희상 국회의장의 대리로 참석한 박수현 비서실장은 “나는 장애인인권상이 없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 장애인의 인권을 위한 노력 없이 당연하고 완전하게 이들의 인권이 보장되는 세상이”라고 하며 “내 아들도 발달장애인이었지만 내가 지키지 못했다. 그래도 아들과 맺었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장애인 인권증진에 노력하며 살겠다”고 전했다.

한편, 행사가 진행된 12월 3일은 국제연합(UN)이 1992년부터 전 세계 장애인의 복지와 재활을 향상하기 위해 기념한 ‘국제 장애인의 날’이다. 한국장애인인권상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의 권리증진을 위해 기념일로 지정했으며 각 국가마다 관련 행사를 벌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