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시설 정책… 진정성 있는 장애인 자립 지원인가?
탈시설 정책… 진정성 있는 장애인 자립 지원인가?
  • 소셜포커스(Socialfocus)
  • 승인 2018.08.20 1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탈시설 정책 제안 토론회 개최
서울시 탈시설 정책 제안 토론회가 7월26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열렸다.
서울시 탈시설 정책 제안 토론회가 7월26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열렸다.

서울시 탈시설 정책 제안 토론회가 7월26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광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주최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거주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환경을 만드는 정책뿐만 아니라, 그동안 시설에 수용하는 것을 정당화해왔던 차별과 배제를 비판하고, 거주시설을 벗어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 등 관련하여 함께 고민하는 토론의 장이 됐다. 

먼저 발제자로 나선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박현영 사무국장은 서울시의 탈시설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짚었다. 박현영 사무국장은 “서울시의 탈시설 정책에서 탈시설 지원 목표인원 설정이 잘못되었음에도 목표를 초과달성했다고 선전했다”며 이를 비판했다. 그는 서울시가 목표인원설정에 있어 거주시설 체험홈과 그룹홈의 가정을 포함하여 5년간 600명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체험홈은 말 그대로 체험기간을 마치면 다시 시설로 복귀하기에 인원에 포함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탈시설이라는 정책은 대규모시설을 소규모화는 시설정책일 뿐이라며 서울시의 정책을 질책했다. 

​이날 발표자들은 탈시설 장애인들에 대한 지역사회에서의 정착지원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탈시설 예산외에도 현실적으로 거주시설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자립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야 된다고 주장했다. 
또 거주시설 이용자들의 권리 또한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장애인 김 모 씨는 “요양원 생활에서 자신의 결정권이 전혀 없었고 외출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본인이 거주시설에서 느낀 박탈감을 토로했다. 
그는 중증 및 정신장애인의 시설생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증장애인거주시설 거주인의 자발적으로 입소한 비율은 14.3%인데 반해 비자발적 입소 비율은 67.9%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씨는 “이 결과에서 보듯이 비자발적으로 입소한 장애인이 느끼는 자기결정권의 박탈감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알 수 없는 고통”이라며 “지역사회가 바뀌면서 장애인이 거주시설에서 나와야 한다지만 일단 나와서는 스스로 부딪히면서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장애여성공감 부설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은 IL센터와 거주시설 네트워크 연계사업을 통해 현장에서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을 지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